제목2020 검찰직 7급 합격수기
조회수2124
2020 검찰직 7급 합격수기
준비기간 : 7개월(2020.03~2020.09)
저는 2019년 10월에 군대에서 전역했습니다. 전역 후 다음 학기 복학을 위해서 아르바이트 등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예전부터 검찰수사관이 장래희망이었기 때문에 시험을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대학교 졸업이 우선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2020년은 학교를 다니고 2021년 7급 시험이 PSAT으로 변경되면 그 때부터 시험을 준비하고자 했습니다.
그렇게 복학을 준비하던 2020년 2월 갑작스럽게 코로나가 전국을 강타했고 3월 즈음에 제가 다니는 학교 역시 온라인 강의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저는 2021년을 목표로 시험을 준비하더라도 형법, 형소법, 헌법, 행정법 등 변경되지 않는 필수과목들은 미리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 더 낫겠다고 판단했고, 그 즉시 법검단기 프리패스를 구매해 대학교 온라인 강의가 없는 때에 짬짬이 시험공부를 했습니다. 국어, 한국사 과목의 경우 고등학생부터 자신 있었던 과목이었기 때문에 다른 과목들에 비해 늦게 시작해도 되겠다고 판단해 우선순위를 뒤로 미루었습니다.
저는 남들보다 늦게 공부를 시작하다보니 하루 공부량을 남들만큼만 하려고 하면 합격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기본/심화 강의도 하루에 2일 분량의 강의를 들으며 공부했고(4~8개) 하루치 강의를 다 들으면(2~4개) 바로 노트에 필기를 하면 복습을 했습니다. 기출/모의고사 같은 문제풀이 강의들은 강의를 듣기보다는 그 시간에 혼자 공부하며 회독을 늘리는 것이 낫다고 판단해 스킵했습니다. 법검단기 교수님들의 기출문제집을 모두 풀은 후에는 시행처별로 기출문제들을 모아놓은 ‘공기출’사이트를 이용해 기출문제들을 보았습니다. 기출문제집의 경우 교수님들께서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문제들을 선별해서 수록하다보니 누락되어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공기출 기출문제들의 경우 시행처별로 복원을 해놓아 많은 문제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모의고사 문제집들의 경우 보통 8~10회 분량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시험 4주 전부터 토요일, 일요일마다 실제 시험처럼 10시 시작-12시 종료로 타이머를 맞춰놓고 시험을 풀면서 시간관리도 하고 시험장 환경에 적응도 하려 노력했습니다.
공부 과목(형법-형소법-헌법-행정법-국어-한국사 순서로 공부)
※모든 과목은 기본서-기출-진도별 모의고사-동형 모의고사 순으로 공부했습니다.
형법(백광훈)
형법은 백광훈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사실 공무원시험 공부를 처음 준비하다보니 어떤 선생님이 유명한지에 대한 정보도 별로 없었습니다. 그래서 디시인사이드 7급 공무원 갤러리에 문의해보니 법검단기 형사법 교수로는 백광훈 교수님이 가장 유명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선택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기초 강의를 들을 것을 추천해주셨으나, 저는 시간상의 문제로 기초 강의를 듣지 않고 바로 기본/심화 강의를 들었습니다만, 강의 초반에는 용어 같은 것이 약간 생소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 같습니다. 시간 여유가 되신다면 초심자분들께선 기초 강의를 먼저 들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형법 같은 경우 이론은 단순 암기입니다. 이론의 이름을 보고 이 이론이 어떤 내용의 이론인지를 숙지하셔야 합니다. 이 부분은 백광훈 선생님께서 잘 강의해주실테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판례는 해당 판례의 ‘키워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 판례에서 뽑아낼 수 있는 문제는 한정되어 있고, 그러다보니 겹치는 키워드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 기출을 공부하면서 그 키워드를 찾아내는 것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형소법(백광훈)
형소법 역시 백광훈 선생님의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내년부터는 개정된 형사소송법이 시행되고 공수처가 신설되어 형사소송법에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통 개정된 부분은 다음 시험에서 바로 낼 것으로 예상되니 이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형법을 공부하시는 분은 형소법 판례가 형법 판례와 겹치는 부분이 있으니 좀 더 수월하게 공부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다만 형소법 같은 경우 형법과 달리 형사소송의 절차적인 흐름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형법과는 다른 결로 공부를 진행해야 합니다. 형사소송이 진행되는 큰 그림을 도식화하고 그 사이에 날짜/시간 등을 적어가시면서 공부하면 그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헌법(윤우혁)
헌법은 제가 공부하는 데 가장 애를 먹었던 과목입니다. 실제로 이번 시험에서도 헌법 과목이 점수가 제일 낮게 나왔고요. 헌법 역시 판례가 중요한데, 형법처럼 판례에서 겹치는 키워드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 키워드와 함께 이 단어가 나온다면 합헌, 다른 단어가 나온다면 위헌, 이런 식으로 정리를 해 가는 것이 효율적인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이 방법은 윤우혁 선생님에게 배운 것으로 방대한 헌법 판례들을 정리하고 암기하는 데에 도움이 많이 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행정법(박준철)
형법-형소법을 같이 공부하면 겹치는 부분이 있어 서로서로 공부하는 데에 시너지가 나듯이 헌법-행정법도 같이 공부하며 시너지가 나는 관계입니다. 행정법 교수님을 누구로 선택해야할지 고민하던 와중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써니(박준철) 교수님을 추천하는 것을 보고 박준철 선생님을 선택했는데 정말 후회하지 않을 탁월한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 같은 초심자들도 알기 쉽게 여러 가지 예를 들어주시며 설명해주시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공부 시간(순서)
기본서(2020.03~07) : 하루에 1과목씩 공부(형법-형소법-헌법-행정법-국어-한국사)
하루에 2일치 강의씩 수강(4~9강), 1일치 강의를 수강할 때마다 필기노트 작성
기출(2020.07~08) : 형-형소-국/헌-행-국사 3과목씩 묶어서 공부
50분 공부-10분 휴식 반복
1회독 : 앞에서부터 쭉 문제풀이
2회독 : 뒤에서부터 쭉 문제풀이
기출+모의고사(2020.08~09.26) : 전과목
기출 1회독 : 뒤 숫자가 0, 5인 페이지만 문제풀이
기출 2회독 : 1, 6
기출 3회독 : 2, 7
기출 4회독 : 3, 8
기출 5회독 : 4, 9
공기출 시행처별 기출 문제풀이
진도별 모의고사 문제풀이(하루 1회)
동형 모의고사 문제풀이(시험 4주전부터 토, 일요일마다 1회씩)